JOB스런 정보/직장인(근로자) 필수 정보14 주휴수당 이란 무엇이고 주휴수당 안주면 대처방법 안녕하세요. 다양한 직업정보를 알려드리는 잡(JOB)연구실 입니다. 직업 실무를 바탕으로 취업진로에 대한 고민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여러 직업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 주관적 견해가 포함되오니 이점 참고 바랍니다. 오늘은 "주휴수당 이란 무엇이고 주휴수당 안주면 대처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이란 근로기준법상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하면 지급되는 유급휴일에 대한 수당을 말한다. 하루 3시간, 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면 주·휴일에는 일을 하지 않아도 1일분의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 5일 근무제의 경우는 일주일 중 1일은 무급휴일, 다른 1일은 주휴일이 됩니다. 주휴수당은 일당으로 계산하는데, 보통 1일 '소정근로시간.. JOB스런 정보/직장인(근로자) 필수 정보 2020. 9. 23. 퇴직금 퇴직연금 DC형 계산법과 (DC.DB)이해 안녕하십니까 진로, 직업, 취업등 관련분야에 대해 연구하는 잡(JOB)연구실 입니다. 근로자로서 어딘가에 소속되어 근로를 하다보면 퇴직금이라는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오늘은 퇴직금 퇴직연금 DC형 계산법과 (DC.DB)이해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퇴직금은 1년 이상 계속 근로한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 발생되며 퇴직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기간제 및 일용직 등 비정규직 근로자(수습기간 포함)등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퇴직금 = [(1일 평균임금*30일)] * 총 계속근로기간] / 365 퇴직금 제도 퇴직금 : 중간정산 가능 퇴직연금 확정 기여형(DC형) : 임금총액의 1/12납부 확정 급여형(DB형) : 90% 적.. JOB스런 정보/직장인(근로자) 필수 정보 2020. 9. 5. 필수! 한번은 봐야하는 "노동법" 근로시간과 휴일 및 휴무편 안녕하십니까. 진로, 직업, 취업등 관련분야에 대해 연구하는 잡(JOB)연구실 입니다. 근로자로서 어딘가에 소속되어 근로를 하다보면 근로기준법 이란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오늘은 지난 근로기준, 꼭 알아야 하고 무조건 한번은 봐야하는 "노동법"에 이어 필수! 한번은 봐야하는"노동법" 근로시간과 휴일 및 휴무편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시간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감독을 받으며 근로계약상의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법정근로시간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1일 8시간, 주 40시간 - 지각, 조퇴, 외출등은 취업규칙, 근로계약 등에 따라 비례적 감약 가능 소정근로시간 법정기준 근로시간 내에서 근로계약 또는 취업규칙 등에서 근로하기로 정한 시간 휴게시간 사용자의 지휘/감독으로부터 벗어나서 .. JOB스런 정보/직장인(근로자) 필수 정보 2020. 9. 2. 근로기준, 꼭 알아야 하고 무조건 한 번은 봐야하는 "노동법" 안녕하십니까. 진로, 직업, 취업등 관련분야에 대해 연구하는 잡(JOB)연구실 입니다. 근로자로서 어딘가에 소속되어 근로를 하다보면 근로기준법 이란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오늘은 근로기준, 꼭 알아야 하고 무조건 한번은 봐야하는 "노동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노동법이란? 노동자의 자유와 생존권의 구체적 보장을 법원리로 하는 법의 총체입니다. 본래는 여성과 미성년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제정되었으나 현재는 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을 주로 하여 노사관계를 합리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고용보험법, 최저임금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등 약 30여 가지의 법령들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종속노동관계에 관한 법이라고 .. JOB스런 정보/직장인(근로자) 필수 정보 2020. 8. 29. 이전 1 2 3 다음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