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스런 정보/직장인(근로자) 필수 정보17 필수! 한번은 봐야하는 "노동법" 근로시간과 휴일 및 휴무편 안녕하십니까. 진로, 직업, 취업등 관련분야에 대해 연구하는 잡(JOB)연구실 입니다. 근로자로서 어딘가에 소속되어 근로를 하다보면 근로기준법 이란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오늘은 지난 근로기준, 꼭 알아야 하고 무조건 한번은 봐야하는 "노동법"에 이어 필수! 한번은 봐야하는"노동법" 근로시간과 휴일 및 휴무편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시간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감독을 받으며 근로계약상의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법정근로시간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1일 8시간, 주 40시간 - 지각, 조퇴, 외출등은 취업규칙, 근로계약 등에 따라 비례적 감약 가능 소정근로시간 법정기준 근로시간 내에서 근로계약 또는 취업규칙 등에서 근로하기로 정한 시간 휴게시간 사용자의 지휘/감독으로부터 벗어나서 .. JOB스런 정보/직장인(근로자) 필수 정보 2020. 9. 2. 근로기준, 꼭 알아야 하고 무조건 한 번은 봐야하는 "노동법" 안녕하십니까. 진로, 직업, 취업등 관련분야에 대해 연구하는 잡(JOB)연구실 입니다. 근로자로서 어딘가에 소속되어 근로를 하다보면 근로기준법 이란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오늘은 근로기준, 꼭 알아야 하고 무조건 한번은 봐야하는 "노동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노동법이란? 노동자의 자유와 생존권의 구체적 보장을 법원리로 하는 법의 총체입니다. 본래는 여성과 미성년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제정되었으나 현재는 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을 주로 하여 노사관계를 합리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고용보험법, 최저임금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등 약 30여 가지의 법령들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종속노동관계에 관한 법이라고 .. JOB스런 정보/직장인(근로자) 필수 정보 2020. 8. 29. 이전 1 2 3 4 다음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