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스런 정보/알아두면 쓸모있는 정보

주휴수당이 뭔가요? 알바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노동권리!

직업상담사 2025. 7. 4.

👋 안녕하세요, 잡(JOB)연구실입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주휴수당’이란 말을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막상 받지 못했거나, 정확히 뭔지 몰라서 넘겼던 분들도 많을 텐데요.

오늘은 알바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주휴수당의 개념부터, 못 받을 때 대처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주휴수당이란?

1주일 동안 성실히 일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쉬는 날의 수당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즉, 일한 날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일하지 않아도 하루치 시급을 더 주는 것이에요.
이건 *사업주의 선택이 아닌 ‘법적 의무’*입니다.


✅ 주휴수당,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일 것
  2. 그 주의 근로일을 결근 없이 개근할 것

📌 지각이나 조퇴는 근로감독관 판단에 따라 ‘정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예외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주휴수당 = 1일 근로시간 × 시급

📌 예시

  • 주 5일, 하루 4시간 일할 경우
    → 주휴수당 = 4시간 × 시급

💬 2025년 최저시급 9,860원 기준
→ 주휴수당 = 4시간 × 9,860원 = 39,440원


✅ 자주 묻는 Q&A

Q1. 하루 3시간씩 주 5일 알바 중인데, 받을 수 있나요?

👉 NO! 주 15시간 미만이라 주휴수당 대상이 아닙니다.

Q2. 수습이라서 주휴수당을 안 준대요.

👉 수습이어도 주휴수당은 법적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수습 3개월 이내라도,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하는 경우엔 반드시 지급 대상입니다.

Q3. 시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됐다고 하던데요?

👉 시급에 포함해 계산할 수도 있지만,
급여 명세서에 ‘주휴수당 포함 여부’와 계산 근거를 명확히 표기해야 합니다.


🚨 주휴수당을 못 받고 있다면? 대처 방법 4단계

✅ 1단계. 받을 자격 확인

  • 주 15시간 이상 일했는지
  • 결근 없이 개근했는지 체크!

✅ 2단계. 사장님에게 정중히 문의

  • "혹시 주휴수당은 지급 대상인지 궁금해서 여쭤봐요."
  • "시급에 포함됐다고 하셨는데, 계산 기준을 알 수 있을까요?"

📌 문자나 카톡 등으로 남겨두면 증거로도 활용 가능!


✅ 3단계. 지급을 거부할 경우

고용노동부에 익명 신고·진정 가능

기관명연락처특징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 1350 전국 공통, 익명 OK
청소년근로권익센터 ☎️ 1644-3119 24세 이하 청년 대상 전문상담
온라인 신고 고용노동부 민원 서면·온라인 모두 접수 가능
 

✅ 4단계. 증거 자료 모으기

  • 근로계약서
  • 출퇴근 내역 (카톡, 문자, 사진 등)
  • 급여 명세서 or 계좌 이체 내역

※ 증거가 부족해도 정황 증빙만으로도 진정 가능!


💬 마무리 코멘트:

아르바이트도 ‘노동’입니다.
**주휴수당은 선택이 아닌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예요.
만약 내가 대상인데 못 받고 있다면, 정당하게 요구하세요.

2초면 됩니다! 구독  좋아요는 더 많은 정보를 제공 하기 위한 큰 힘이됩니다.

(비로그인도 구독 좋아요는 가능하오니 꾹~ 눌러주세요.)

반응형

댓글

💨추천 글❣❣